- 대상포진 정의
- 대상포진 원인
- 대상포진 증상
- 대상포진 치료
- 대상포진 예방
- 대상포진 주의사항
극심한 통증과 흉터를 남기는 대상포진! 발병즉시 신속히 치료하는 것이 중요한데요.
발병한지 72시간 내에 치료를 시작하면 통증과 발병기간을 감소시킬 수 있어요. 치료시작은 빠르면 빠를수록 좋습니다.
그렇다면 대상포진을 빨리 감별하는것이 중요하겠죠?
지금부터 대상포진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정의
대상포진은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가 몸 속에 잠복상태로 존재하고 있다가 다시 활성화되면서 발생하는 질병입니다. 수두 바이러스와 대상포진 바이러스는 같습니다. 예전에 수두 바이러스를 앓은적이 있다면 대상포진에 걸릴 수 있습니다.
원인
잠복해 있던 바이러스가 면역력 저하시 활성화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면역력 저하의 원인은 다양합니다
-고령
-항암치료, 방사선 치료
-에이즈 등의 질병
-면역 억제제, 장기간 스테로이드 복용하는 경우
평소 과로하지 않고 스트레스 관리를 잘 해주시고, 충분한 휴식을 취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증상
대상포진의 특징적인 두가지 증상을 꼭 기억해주세요!
첫째는 한쪽에만 증상이 나타난다는 것입니다. 오른쪽 또는 왼쪽으로 피부 발진이 발생합니다.
둘째는 작은 물집이 무리를 지어 띠를 형성합니다.
통증은 비교적 다양합니다. 무증상부터 콕콕쑤시는 통증, 두통, 근육통 등등 증상은 다양합니다.
한쪽에만 작은물집이 모여 띠를 형성하고 독특한 통증을 동반한다면 대상포진이니 즉시 병원을 방문하시길 바랍니다.
치료
치료는 항바이러스제를 7일간 복용합니다. 그밖에 통증을 가라앉히기 위해 진통제를 추가로 복용하기도 합니다.
예방
대상포진 예방백신이 있습니다. 60세 이상 성인에게서 1회 접종이 추천됩니다.
예방접종을 하여도 대상포진은 걸릴 수 있습니다. 하지만 예방접종을 한 후 걸릴 경우 증상이 비교적 가볍고, 신경통 발생률이 낮아지므로 예방접종을 하시기를 추천드립니다.
대상포진에 걸린 후에도 대상포진 예방접종을 할 수 있지만, 적어도 1년 이후에 접종하실 것을 권고 드립니다.
주의사항
-대상포진은 등, 옆구리 등에 많이 생겨서 몸에 생기는 경우는 비교적 빠르게 알아차리는 편입니다. 하지만 드물게 얼굴에 생기는 경우도 있습니다. 눈 주변에 대상포진이 생기는 경우에는 홍채염이나 각막염을 일으켜 실명할 수 있고, 바이러스가 뇌수막까지 침투하면 뇌수막염으로 진행되기도 하므로 빠른 치료가 필요합니다.
-대상포진 시에 생긴 물집은 터뜨리지 않습니다. 터진 수포는 전염력이 있으므로 대상포진을 앓지 않은 어린이가 있는 경우 격리하는 것이 좋습니다. 수두를 앓은 적이 없는 사람은 대상포진이 아닌 수두로 전염됩니다.
-처방받아 드시는약은 임의로 중단하지 마시고 끝까지 복용하시길 바랍니다.